로고스심리상담센터_pc
로고스심리상담센터_m

인정받고 싶은 마음 / 인정욕구의 문제행동

로고스심리상담센터 25-03-12 16:48 21 0
thumb
.
.
인정받고 싶은 마음
인정욕구와 튀는 행동 :

​인정받고 싶은 욕구는
누구나 가지고 있지만 그 표현
방법은 다 다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왕왕 숨은 인정욕구는
채우지 못하고 튀는 행동에 대한
비판만 받게 되는 경우가 생깁니다.

​인정받고 싶어서 한 말과 행동이
상대에게는 이해할 수 없는
태도로 인식되는 역반응은
인정욕구가 앞서서 상대와의
관계 수위를 맞추지 못한
미숙함 때문입니다.

 인정받고자 하는 마음이
감정과 생각을 지배할 때에는
행동과 태도에 반영되어 상대를
혼란스럽게 할 수 있습니다.
기준에서 벗어나거나 과잉되게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인정욕구의 근원에는
두려움이나 불안의 심리가 깔려
있어서 타인에게 비치는 자기를
의식하게 됩니다. 그런 자기를
거부할까 봐 겁이 나는 것입니다.

인정받고 싶은 마음
약자 코스프레 :

​인정 욕구를 채우는 방법으로
약자 코스프레 역할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자신이 열등하다고 여기거나
갈등에 저항이 힘들면 상대에게
의존하여 자신에게 집중하게
하는 약자 모드입니다.

​상대가 나를 떠나지 않고
케어해 주는 것이 지속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방법이라고
여기게 되면 인정욕구의
방편이 됩니다. 의존하는
자신과 상대는 동반의 존 상태로
인정욕구를 채우게 됩니다.

​가족 중에 가장 취약한 사람이
가족의 관심사가 되거나
자녀 중에 가장 취약한 아이가
부모의 주 관심 자녀가 됩니다.

상대에게 관심을 받는 것이
기본적 인정욕구의 충족입니다.
그래서 자신의 상황이 취약한
상태일 때는 약자 코스프레
(약한 것을 사용)가 관심
 갖기로 사용됩니다.

인정받고 싶은 마음
인정욕구 때문에 질투, 뒷담 :

​경쟁 대상 때문에 인정욕구를
채울 수 없거나 인정을 빼앗길
때는 질투와 뒷담으로 소극적인
공격을 하게 됩니다.

​유난히 뒷담을 남발하는 사람의 경우는
자신이 인정받지 못하거나
다른 사람이 인정받는 것을
허용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자신을 건강하게 수용하지 못하고,
인정하지 못하는 자기부정의 사람은
타인도 자신을 그렇게 평가할 것
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자기 부정의 사람은
타인이 인정받는 것에 대해
질투심이 심하거나 비판적입니다.
뒷담은 타인 부정의
소극적 표현입니다.

인정받고 싶은 마음
강한 승부욕은 인정욕구 :

​ 승부욕이 강한 사람은
타인에게 자신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알리는 방법을
선택한 것입니다. 강자로
인정욕구를 채울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성공에 집착하는 사람 중에는
어린 시절 인정욕구가 결핍된
경우가 많습니다. 약자의 자리에서
인정받지 못했던 경험이 과잉된
승부욕으로 와전될 수 있습니다.

​강한 승부욕의 사람은
성취한 것 때문에 타인의 인정을
받고 자기 존재감이 부각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들에게는 타인을
이기는 것이 목 적이 될수 있습니다.

​강한 승부욕 자체가
인정욕구의 수단과 목적이 될 때
삶의 과정을 즐기거나 나누는
미학을 놓치게 됩니다.

로고스는
 인정 욕구의 문제를 점검하고
심리코칭으로 건강한
기준을 제시해 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고스심리상담,안산미술치료,안산심리검사,안산가족상담,안산커플상담,안산아동상담,안산청소년상담,안산성인상담

전화문자카톡관리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