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스심리상담센터_pc
로고스심리상담센터_m

마음 관리 방법 / 자기관리 방법

로고스심리상담센터 25-02-08 14:30 60 0
thumb
.
.
자신을 학대하지 않아야 한다
자신의 감정을 학대하지 않기 :

감정을 학대하는 사람은
어느 날 감정이 모여서
가스처럼 폭발할 수 있습니다.
분노로, 눈물로, 히스테릭으로
학대받은 감정의 반란이 일어납니다.

​ 자신의 마음을 학대하지 않기 :
마음을 꼭꼭 닫고 사는 사람은
숨이 막힌 내면이 곪아서 병이 나고,
마음에 방문자가 없어지면
추운 겨울로 지내게 됩니다.

​ 자신의 몸을 학대하지 않기 :
자신의 몸을 학대하는 삶으로
무언가를 얻었다면 브레이크 없이
사용한 몸은 반드시
신체화 증상으로 고장 신호를
빨리 보내게 됩니다.

​자신의 정서를 학대하지 않기 :
자신의 정서를 학대하는 삶은
데커레이션이 없는 케이크처럼
밋밋하고 감탄 없는 실용주의,
재미없는 사람이 됩니다.

​ 자신의 과거를 학대하지 않기 :
자신의 과거를 미워하며
현재를 사는 사람은 과거를
싫어하느라고 현재의 자기를
학대하는 삶을 살게 됩니다.

​자신의 생각을 학대하지 않기 :
문제가 생길 때마다
 'STOP & Thinking'
하지 않는 사람은
자신의 생각을 학대하는 것입니다.
멈추고 생각하는 것은
자기를 존중하는 것입니다.

웃지 않는 것은
자신의 감정을 학대하는 것이다.
​무엇이 웃지 못하게 할까?
웃지 않는 것은 마음에 산소를
공급해 주지 않는 자학 행위입니다.
웃어버리면 자신을 톡톡해 주는
자선사업이 됩니다.

​열등감? 두려움?
억압? 지침?
무기력? 우울?
열등감은 웃음을 감추게 되고,
두려움은 웃음을 소멸하게 되고,
무기력은 웃을 힘이 없고,
우울은 웃음을 태워버립니다.

​웃음을 가로막는
불청객은 무엇인가?
현재 도저히 웃을 수 없다면
반드시 내면에 불청객이
있기 때문입니다.
불청객을 점검할 때입니다.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는 것은
마음을 학대하는 것이다.
왜 자신을 사랑하지 못할까?
자신 속의 싫은 자기를
학대하게 되면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게 됩니다.
싫은 자기를 수용하는 방법은
왜 싫어하게 되었는지
이해해 보는 것입니다.

​왜 타인을 사랑하기 힘들까?
미움은
자신이 재판관이 되기 때문이고
무관심은
자기보호에 집중하기 때문입니다.
재판관과 자기보호를 버릴 때
사랑할 수 있습니다.

​사랑할 힘을 빼앗아 간
적군을 퇴치해야 사랑할 수 있다
적군이 누구입니까?
마음을 짓밟는 적군을 어떻게
퇴치할지 작전을 세우고
실행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사랑은 훈련과정이 필요합니다.

에너지를 하나도 남겨두지 않고
완판 해 버리는 것은
너의 몸을 학대하는 것이다.
​몸은 마음을 담은 그릇인데
마음을 담을 수 없도록
혹사할 때  몸은
질병으로 말하게 됩니다.

​두통, 이명, 암, 아토피,
관절염, 대상포진 같은
몸의 반란을 막아야 하는데...
위의 증상은 번아웃 된
몸의 신호입니다.

계절의 아름다움에 무심한 것은 
너의 정서를 학대하는 것이다.
​주변을 돌아볼 여유가 없는 일상은
 영혼 없이 올인하는 삶입니다.
무엇이 메마른 삶으로 추락
시키는 것인지 점검해야 합니다

자신의 생각을 가슴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은
자신의 생각을 학대하는 것이다.

​자유롭고 유연한 생각은
자유 중에서 가장 큰 선물이고
사고의 전환에 제약이 많은
이유를 찾아야 합니다.
찾는 만큼 자유를 누릴 것입니다.

현재를 누리지 못하는 것은
너의 과거를 학대하는 것이다.

​현재의 자신 모습은
가장 진실한 자기이며
과거 속의 자기는 허상 세계의 
거짓 자기임을 인식할 때
현재를 누리게 되는 것입니다.
현재를 누리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자신의 마음을 알고
자신의 감정을 알고
자신의 정서를 알고
자신의 과거를 알고
자신의 생각을 알고
자신의 모든 것을 객관화하여
볼 수 있는 사람은
참 자유의 사람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고스심리상담,안산미술치료,안산심리검사,안산가족상담,안산커플상담,안산아동상담,안산청소년상담,안산성인상담

전화문자카톡관리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