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부부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
.
가족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부부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가족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라는
고민은 많은 사람들의 보편적
호소문제입니다.
왜냐하면 가족이라는 집단 안에는
다양한 다른 기질의 사람들이
함께 공유하며 살기 때문입니다.
가족관계나 부부의 관계는
서로 다르지만 함께 오랜 시간
같은 공간, 같은 문화 속에서
지내면서 서로 갈등을 겪고
갈등을 통해 상호 성장하는
구성원입니다. 그래서 긍정적 ·
부정적 영향력을 주고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가족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부부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가족의 갈등이나 부부의 갈등은
당연히 있을 수 있지만 갈등을
어떻게 다루느냐의 우선순위는
본질적인 것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가족갈등, 부부갈등을
다루는 방식의 공식은 의외로
단순하고 명료합니다.
본질은 바위처럼 비본질은 물처럼
다루는 것입니다.
가족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부부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1. 갈등 다루는 공식
▪️중요하지 않은 것에
갈등하지 않고 싸우지 않는다.
▪️ 별거 아닌 것에 유치한 주제에
소모전을 하지 않는다.
▪️ 사소한 일에 예민해져서
시간 낭비하지 않는다.
▪️ 개인의 신념의 문제로
충돌하지 않는다.
▪️ 열린 태도로 산다
▪️ 비본질에 대해
자유와 절제의 균형 이룬다.
▪️ 나의 자유를 위해 다른 사람의
자유를 억압하지 않는다.
▪️ 융합을 위해 스스로
자유를 제한하는 성숙한 태도로
상대를 비난하지 않고 배려한다.
가족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부부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2. 갈등 다루는 공식
▪️ 상대를 용납하고 품는 자세로
고집을 버린다.
▪️ 내 말은 맞고 너는 틀렸다는
폭력을 부리지 않는다
▪️ 강점은 탄력성과 유연성,
겸손으로 사용한다.
▪️ 강점을 무기 삼아 상대를
무시하고 기죽이지 않는다.
▪️ 남들보다 나은 것으로
판단, 정죄의 무기 삼지 않는다.
▪️ 용납하고 이해하는 태도로
잘하는 것을 사용한다.
▪️ 도량이 좁아지고
옹고집이 생기면 안 된다
▪️ 답답하고 앞뒤 막힌 사람은
자기주장을 관철시키며 자기 혈기로
싸우고 논리로 굴복 시키려 한다
가족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부부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3. 갈등 다루는 공식
▪️ 이기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잘난 것으로 고집과 성질, 혈기로
풀어내는 무기가 되면 안 된다.
▪️ 진짜 강자는 넉넉하고 품어주고
받아주며 약자가 자라게
도와주는 사람이다.
▪️ 자신의 이전의 경험대로
열심이 넘쳐 고집을 절대화해서
다른 사람을 받아주지 못하는
쪽으로 흐르면 아무도 건드리지
못하는 사람이 된다.
▪️ 강자의 신념은
본질을 벗어날 수 있다
▪️ '다르다'를 인정하지 않고
옳고 그름을 따지는 것에 너무
열심을 내면 내 편과 나쁜 편이라는
극단적 구별이 된다.
▪️ 옳고 그름이 진리가 아닐 수 있다
다른 관점은 정상이다.
다양한 사람을 통해 상대에 대한
이해력을 높여 나가는 것이
성숙의 과정
▪️ 몇 가지의 아는 것으로 그를 다
안다고 속단하면 불통이 일어난다.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
가족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부부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4. 갈등 다루는 공식
▪️ 내 주장이 중요하듯 상대의 주장도
귀하다고 인정하는 태도가 필요
▪️ 건강한 가정은 강한 사람이
약한 사람을 잘 품어주는 공동체이다
▪️ 성숙은 관용을 통해서 나타나는
것이지 알수록 날카로워지는 것이
아니다 가슴이 넓어져야 한다
▪️ 왠지 깐깐하고 고집스러워진다면
잘못된 것이다. 옳게 사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 옳고 바르게 살 뿐 아니라
품어주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 무례한 사람은 나는 착하고
의로운 사람이고 다른 사람은 다
나쁜 사람이라는 위험한 공식을
가진 사람이다
▪️ 의인 의식으로 다른 사람을 죄인으로
몰아가는 철저하게 이분법적으로
구분 시켜버리는 매몰차고, 까다롭고,
빈틈없는 사람은 다른 사람이
등을 돌리게 된다
▪️ 약자를 받아주는 역할을 할 때
성숙한 자로 좋은 영향력을 줄 수 있다
가족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부부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5. 갈등 다루는 공식
▪️ 가정 안에서 연약한 사람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도우느냐가 중요하다
▪️ 기다려주고 넉넉한 사랑으로
품어 주는 역할이 중요하다
▪️ 약한 자를 얼마나 품느냐가
성숙의 기준과 척도가 된다
부모의 성숙이 증명된다
▪️ 받아들이기 힘든 사람을
내치는 것은 쉽다. 품는 노력은
멈추지 않아야 한다
▪️ 성숙하고 평안한 가정이 되려면
성숙한 자가 헌신을 많이 하고
말수를 줄이고 열심을 내는 사람이
겸손해지는 태도를 보이며 자기 소리를
낮추는 가정이 좋은 가정이다
▪️ 가정은 잘난 자가 모인 곳이 아니다
약한 자와 강한 자가 공존하는 곳이며
그 누구도 내쳐져서는 안된다
▪️ 약한 자는 강한 자를 통하여 배워야 하고
강한 자는 약한 자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
▪️ 서로 어떻게 함께 공존할 것인가
서로 존중하고 비판, 무시하지 않고
함께 품으며 공동체를 이루어가는 훈련을
하는 곳이 가정이다
.
가족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부부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가족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라는
고민은 많은 사람들의 보편적
호소문제입니다.
왜냐하면 가족이라는 집단 안에는
다양한 다른 기질의 사람들이
함께 공유하며 살기 때문입니다.
가족관계나 부부의 관계는
서로 다르지만 함께 오랜 시간
같은 공간, 같은 문화 속에서
지내면서 서로 갈등을 겪고
갈등을 통해 상호 성장하는
구성원입니다. 그래서 긍정적 ·
부정적 영향력을 주고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가족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부부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가족의 갈등이나 부부의 갈등은
당연히 있을 수 있지만 갈등을
어떻게 다루느냐의 우선순위는
본질적인 것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가족갈등, 부부갈등을
다루는 방식의 공식은 의외로
단순하고 명료합니다.
본질은 바위처럼 비본질은 물처럼
다루는 것입니다.
가족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부부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1. 갈등 다루는 공식
▪️중요하지 않은 것에
갈등하지 않고 싸우지 않는다.
▪️ 별거 아닌 것에 유치한 주제에
소모전을 하지 않는다.
▪️ 사소한 일에 예민해져서
시간 낭비하지 않는다.
▪️ 개인의 신념의 문제로
충돌하지 않는다.
▪️ 열린 태도로 산다
▪️ 비본질에 대해
자유와 절제의 균형 이룬다.
▪️ 나의 자유를 위해 다른 사람의
자유를 억압하지 않는다.
▪️ 융합을 위해 스스로
자유를 제한하는 성숙한 태도로
상대를 비난하지 않고 배려한다.
가족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부부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2. 갈등 다루는 공식
▪️ 상대를 용납하고 품는 자세로
고집을 버린다.
▪️ 내 말은 맞고 너는 틀렸다는
폭력을 부리지 않는다
▪️ 강점은 탄력성과 유연성,
겸손으로 사용한다.
▪️ 강점을 무기 삼아 상대를
무시하고 기죽이지 않는다.
▪️ 남들보다 나은 것으로
판단, 정죄의 무기 삼지 않는다.
▪️ 용납하고 이해하는 태도로
잘하는 것을 사용한다.
▪️ 도량이 좁아지고
옹고집이 생기면 안 된다
▪️ 답답하고 앞뒤 막힌 사람은
자기주장을 관철시키며 자기 혈기로
싸우고 논리로 굴복 시키려 한다
가족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부부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3. 갈등 다루는 공식
▪️ 이기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잘난 것으로 고집과 성질, 혈기로
풀어내는 무기가 되면 안 된다.
▪️ 진짜 강자는 넉넉하고 품어주고
받아주며 약자가 자라게
도와주는 사람이다.
▪️ 자신의 이전의 경험대로
열심이 넘쳐 고집을 절대화해서
다른 사람을 받아주지 못하는
쪽으로 흐르면 아무도 건드리지
못하는 사람이 된다.
▪️ 강자의 신념은
본질을 벗어날 수 있다
▪️ '다르다'를 인정하지 않고
옳고 그름을 따지는 것에 너무
열심을 내면 내 편과 나쁜 편이라는
극단적 구별이 된다.
▪️ 옳고 그름이 진리가 아닐 수 있다
다른 관점은 정상이다.
다양한 사람을 통해 상대에 대한
이해력을 높여 나가는 것이
성숙의 과정
▪️ 몇 가지의 아는 것으로 그를 다
안다고 속단하면 불통이 일어난다.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
가족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부부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4. 갈등 다루는 공식
▪️ 내 주장이 중요하듯 상대의 주장도
귀하다고 인정하는 태도가 필요
▪️ 건강한 가정은 강한 사람이
약한 사람을 잘 품어주는 공동체이다
▪️ 성숙은 관용을 통해서 나타나는
것이지 알수록 날카로워지는 것이
아니다 가슴이 넓어져야 한다
▪️ 왠지 깐깐하고 고집스러워진다면
잘못된 것이다. 옳게 사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 옳고 바르게 살 뿐 아니라
품어주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 무례한 사람은 나는 착하고
의로운 사람이고 다른 사람은 다
나쁜 사람이라는 위험한 공식을
가진 사람이다
▪️ 의인 의식으로 다른 사람을 죄인으로
몰아가는 철저하게 이분법적으로
구분 시켜버리는 매몰차고, 까다롭고,
빈틈없는 사람은 다른 사람이
등을 돌리게 된다
▪️ 약자를 받아주는 역할을 할 때
성숙한 자로 좋은 영향력을 줄 수 있다
가족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부부의 갈등 어떻게 다룰까?
5. 갈등 다루는 공식
▪️ 가정 안에서 연약한 사람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도우느냐가 중요하다
▪️ 기다려주고 넉넉한 사랑으로
품어 주는 역할이 중요하다
▪️ 약한 자를 얼마나 품느냐가
성숙의 기준과 척도가 된다
부모의 성숙이 증명된다
▪️ 받아들이기 힘든 사람을
내치는 것은 쉽다. 품는 노력은
멈추지 않아야 한다
▪️ 성숙하고 평안한 가정이 되려면
성숙한 자가 헌신을 많이 하고
말수를 줄이고 열심을 내는 사람이
겸손해지는 태도를 보이며 자기 소리를
낮추는 가정이 좋은 가정이다
▪️ 가정은 잘난 자가 모인 곳이 아니다
약한 자와 강한 자가 공존하는 곳이며
그 누구도 내쳐져서는 안된다
▪️ 약한 자는 강한 자를 통하여 배워야 하고
강한 자는 약한 자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
▪️ 서로 어떻게 함께 공존할 것인가
서로 존중하고 비판, 무시하지 않고
함께 품으며 공동체를 이루어가는 훈련을
하는 곳이 가정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