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스심리상담센터_pc
로고스심리상담센터_m

고집부리는 아이 / 심리전에서 이기는 양육 스킬

로고스심리상담센터 25-10-29 11:58 4 0
thumb
고집부리는 아이
심리전에서 이기는 양육 스킬
기록의 발견

아이가 고집을 부리면
부모는 각자의 방식으로
아이를 응대하게 되는데
다행히 코드가 맞아서 해피하게
관계가 유지되는 경우도 있지만
아이의 고집에 맞대응하면서
부모가 지치거나 마찰로
대립각이 세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이가 고집을 부릴 때
부모는 노트가 필요합니다.
아이가 원하는 욕구가 무엇인지
아이가 잘못된 건 무엇인지
아이에게 가르칠 것이 무엇인지
목록을 기술해 보면
문제가 보이고 해결 방법도
찾게 됩니다.

노트 요약으로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객관적 관찰자로
상황과 아이가 보이기 때문입니다.
반복하여 연습하는 과정 중에
부모는 아이를 객관적으로 알게
되어 오해나 마찰이 줄고
아이는 고집 대신 말로 요구하는
방법, 평화로운 요구가 가능함을
느끼게 됩니다

고집부리는 아이
심리전에서 이기는 양육 스킬
소크라테식 질문

아이나 어른이나 고집을
부리는 사람은 대개 상대가
자신의 니즈를 알아주길 바라기
때문에 억지를 부리게 됩니다.
이때 필요한 응대는
질문을 해주는 것입니다.
심히 궁금하다는 느낌으로
물어봐 주는 것이지요.

고집을 부리는 아이에게
열린 질문은 안 통할 것 같지만
가장 필요한 것입니다.
소크라테스식 질문은 열린 질문으로
상대가 마음대로 답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심리전에 해당됩니다.

고집을 부리는 아이에게
소크라테스식 질문은 아이가
고집이라는 방법 대신 더 건강한
언어적 대화 방법으로 자신의 요구를
요청하도록 훈련 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그렇기에 다소
서툴러도 질문에 맘껏 속 마음을
담아내도록 유도하는 심리전이
고집을 고치는 전략이 됩니다.

고집부리는 아이
심리전에서 이기는 양육 스킬
가족 규칙 적용

고집을 수시로 부리거나
충동적인 엉뚱한 고집으로
부모를 이기려 하는 고집쟁이 아이는
부모가 같이 거칠어지는
역기능 관계가 되기 쉽습니다.
이때 부모는 먼저 정신줄을
놓고 아이의 요구를 무조건
들어주며 시끄러움을 잠재우거나
폭력이나 억압으로 제지하는
경우가 생기게 됩니다.
어느 쪽이든 문제적 해결법입니다.

아이의 고집이 순수한 요구보다
기싸움의 심리전에 해당된다면
아이 고집은 만성적 나쁜 습관에
해당되기 때문에 부모는 대응법을
바꿔야 합니다.

아이 고집을 고치기 위해서는
부모는 가족 규칙을 세워야 합니다.
가족회의로 가족 문화를 만드는
작업을 하는 것입니다.
규칙 항목을 만들고 세칙을
조목조목 만들어서 화이트보드에
적어서 거실에 걸어두며 한 가지씩
실행하는 훈습으로 가족 규칙을
실행하는 것이 민주적
양육 스킬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고집부리는 아이
심리전에서 이기는 양육 스킬
심리 정보 활용

고집을 부리는 아이를 잘
들여다보면 부모와 다른 기질의
아이라서 서로 상반된 욕구가
많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부모의 입장에는 No 지만
아이 입장에서는 욕구 좌절에
해당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고집을 부리는 이유가 성격 차이 일 때
부모가 무조건 고집만을 꺾으려
하다 보면 관계가 나빠지거나
아이가 삐뚤어지거나
아이가 정체성에 혼란이
생기는 역기능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부모는 아이에게
부모의 취향, 생각을 잘 알려주며
아이가 부모에 대한 심리 정보를
알 수 있게 충분한 정보 공유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부모는 아이의 생각이나
욕구에 대해 관심 있게 잘 들어보고
말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고
아이에 대한 심리 정보를 많이
공유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아이와
부모의 성격차이에 대해
허용 영역과 공유 영역을
구분하는 양육 스킬이 생기게 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고스심리상담,안산미술치료,안산심리검사,안산가족상담,안산커플상담,안산아동상담,안산청소년상담,안산성인상담

전화문자카톡관리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