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스심리상담센터_pc
로고스심리상담센터_m

화병 심리치료 / 화병 증상 / 화병의 원인

로고스심리상담센터 25-03-13 17:22 80 0
thumb
.
.
화병 심리치료 :
화병의 원인은 무엇일까?
화병이란?
한국인의 심리적 질병을 명칭하는
용어 중의 하나입니다. 
화병은 감정의 찌꺼기들이
덩어리가 되어 마음을 꽉 누르고
있는 증상입니다.

심리적으로 자유롭지 못 한
상태를 오래 지속하게 될 때
마음의 공간은 혼탁하게 됩니다.
이러한 경우 나타나는 증상들이
화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정은 환경과 사람과 성격의
통합적인 조건들에 의해 기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유쾌 감정을
많이 보유하지 못할 때 나타나는
증상이 분노와 우울입니다.

불쾌 감정이
만성적으로 쌓일 때에는
심리적으로 화의 기분이
포화 상태가 되어 역기능적인
정신적 질병이 생기게 됩니다.

화병은
마음에 분노로 불이 난 상태나
마음에 슬픔이 가득하여 저기압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그러나 화병의 증상은 사람의
성격이나 기질의 모형에 따라
다른 형태를 보이기도 합니다.

화병의 표출은 화를 많이 내는 사람,
우울 증상을 보이는 사람,
마음을 닫고 말을 안 하는 사람
등의 여러 가지 유형의 증상들로
상한 감정의 표출을 하게 됩니다.

지금 심리적으로 오염된 감정들이
가득하다면 자기탐색으로 심리적
문제에 접근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우선순위일 수 있습니다.


화병 심리치료
무조건 참는 성격이 화병이 되는 경우:

인간의 본질은 이기성입니다.
자신의 주관적인 관점과 욕구에
의해 타인을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무조건 참는 사람들의 기본적인
욕구의 체계는 불편하게 되는
것을 싫어한다는 것입니다.
타인과 경쟁하거나 논박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편한 사람들입니다.

참는 사람들은 대개가 자신이
착하게 살고 싶은 욕구가 많습니다.
타인에 대해서도 도덕의 기준이
높기 때문에 그렇지 못한 경우
수용이 어렵습니다.

참는 사람들은 타인과 소통하고
관계하기보다는 자신이 희생하고
주기를 선호합니다.
일방적인 희생이 만성화될 때
보상심리가 마음에 차게 됩니다.

참는 사람들은 자신을 상대방에게
알리는 기술이 부족하거나 표현을
최소화합니다. 그래서 타인이
오해하기 쉬운 관계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심리 해결 Tip :
착한 기준을 다시 재점검해야 합니다. 
타인에게 자신의 감정을 건설적으로
전달하는 훈련을 해야 합니다.

무조건 주기보다는 어떤 때
주어야 하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소통의 스킬을 배우고 타인에게
자신이 어떤 사람으로 비치고
있는지 탐색하여야 합니다.

​

화병 심리치료
관계 중독이 화병이 되는 경우:

​인간 관계는 소유가 아니라 소통입니다.
관계 중독증은 자신이 모르는 사이에
사람에게 스스로 매이는 경향을 말합니다.

인간관계는 수평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심리적인 친밀감으로
지내기를 가장 선호하게 됩니다.
그러나 서로 보완적 관계로,
비즈니스의 관계로도 성립이
될 수 있습니다.

인간관계에 매이는 사람들은
관계 속에서 소유욕이 강하기
때문에 음으로 양으로 상처를
받거나 주기도 하면서 마음에
병이 생기게 됩니다.

진정한 인간관계는 공감과 경청으로
마음을 주거니 받거니
자유롭고 유연하여야 합니다.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마음에
깊은 고독이 자리 잡게 됩니다.

사람에게 집착하거나 자신이
거절감을 많이 느끼는 경향은
이미 사람에게 매이는 삶의
패턴을 가고 있다는 징후입니다

​심리 해결 tip:
인간관계의 방식을 재검토해야 합니다. 
자아존중감을  키우고
독립적인 자아를 찾아야 합니다.

자신과 타인의 건강한 심리적
거리 두기를 배워야 합니다. 
소유의 개념에서 소통의
개념으로 인간을 수용해야 합니다.


화병 심리치료
경쟁적인 사람이 화병이 되는 경우:

삶의 모든 과정이 과다하게
경쟁적인 사람들은 마음으로
타인과 소통할 기회를 갖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관계가 단절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

목표를 이룰 수는 있지만 과정 속에서
적군이 많아질 수 있습니다. 
감정을 무시한 체로 오랫동안
지내다 보면 만성화된 정서
둔감으로 타인과 불화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분노가 역류하는 거센 감정의
소용돌이가 일어나게 됩니다.
자신도 무서울 정도로 자신의
정체된 감정이 마음에 많이
숨어 있는 상태일 수 있습니다.

마음에 자물쇠가 굳게 잠겨진
상태임을 자신이 모르고
지낼 수 있습니다.
타인들이 공격해올 때 무조건
인정할 수 없는 분노가
차 올라올 수 있습니다.

한 번도 깊은 소통을 경험하지
못한 체 일 중심의 삶을 사는
사람들은  감정의 교환이
비생산적인 소모전이라고
여길 수 있습니다.

​심리 해결 tip:
거센 마음의 분노가 정상이 아님을
인식하는 것이 첫 번째 관문입니다.
인간의 삶은 쟁취가 아니라
과정이며 인간관계는 필수
항목임을 수용하여야 합니다.

목표를 이루었어도 인간관계가
낯설다면 편협된 삶의 방식이라고
보아야 합니다. 멈추어서 자신을
재점검하여 감성 기능을
회복해야 합니다.

​화병 심리치료
트라우마 /
부정 경험이 화병이 된 경우:

삶의 모든 과정 중에 실패와
재난과 불가항력적인 억압을
많이 경험한 사람들은 마음에
피해 의식이 가득하여
화병이 생기게 됩니다.

트라우마는 강한 경험의
기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과잉 일반화된 왜곡된 인지로
사람과 세상을 바라보며
불행의 주인공이 됩니다.

부정적 경험은 부정 강화가 되어
삶의 모든 과정마다 장애가
생기게 됩니다. 이미 마음에
두려움이 가득하기 때문에
일상이 부정적입니다.

심리적 배경이 두려움으로
채워져있기 때문에 인간관계도
환경을 대하는 태도로 피해 의식으로
출발할 수 있습니다.

타인에게 자연스럽게 악수를
청하지 못하고, 수용도 어렵기
때문에 친밀감을 경험하지
못하게 됩니다.

좋은 관계를 통하여 새로운
경험을 하지 못할 때 트라우마
속에서 마음의 질병을 앓게 됩니다.

​​​심리 해결 tip:
트라우마는 벗어날 수 있는
관념의 세계임을 인식하여야 합니다.
새로운 경험을 시도하여
옛 감정을 힐링하는
기회를 가져야 합니다.

자신이 스스로 자신 속의
과거 경험을 밀어내는 의지를
가져야 합니다. 인생의 과정은
경험의 연속선상에 있기
때문에 새로운 경험에 대한
기대감을 가져야 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고스심리상담,안산미술치료,안산심리검사,안산가족상담,안산커플상담,안산아동상담,안산청소년상담,안산성인상담

전화문자카톡관리자로그인